부당이득 1억 5천만 원 사건 | 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

부당이득, 그게 대체 뭐지?

김민수(가명) 씨는 익명인 A로부터 “지금 이 주식을 사면 큰돈을 벌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설렜습니다. 익명인 A는 믿을 만한 사람이라 생각했고, 민수 씨는 주식을 사기 위해 1억 5천만 원이라는 거금을 송금했죠. 그런데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주식은 애초에 존재하지 않는 가짜였습니다. 속았다는 사실을 알게 된 민수 씨는 돈을 돌려받기 위해 법원에 소송을 냈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 키워드는 바로 부당이득입니다. 부당이득이란, 쉽게 말해 누군가가 정당한 이유 없이 돈이나 재산을 얻은 경우, 그걸 원래 주인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법의 원칙입니다.

민수 씨의 경우, 돈을 받은 사람은 실제로 주식을 보유하지 않았으니, 그 돈을 받은 이유가 정당하지 않다고 볼 수 있죠. 하지만 법은 단순히 “돈을 돌려줘”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돈을 받은 사람이 그 돈이 사기로 얻어진 것인지 알았는지, 혹은 몰랐다면 얼마나 주의했어야 했는지를 따져봅니다. 이 사건에서 법원은 민수 씨가 송금한 1억 5천만 원 중 일부는 돌려줄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는데, 왜 그랬을까요? 이 이야기를 하나씩 풀어보겠습니다.

돈이 어디로 갔을까? 사건의 전말

민수 씨는 익명인 A에게 속아 돈을 송금했지만, 그 돈은 익명인 A가 아니라 피고(가명 박철수)라는 사람의 계좌로 들어갔습니다. 철수 씨는 익명인 A와 예전에 미술품 거래를 한 적이 있었고, 익명인 A가 “내가 민수 씨한테 받은 돈을 네 계좌로 보낼 테니, 내가 말하는 다른 계좌로 다시 보내줘”라고 요청했다고 주장했어요. 실제로 철수 씨는 민수 씨가 보낸 1억 5천만 원 중 1억 원을 익명인 A가 지정한 계좌(익명인 A의 아들 계좌 등)로 보냈습니다. 나머지 5천만 원은 철수 씨가 미술품 판매 대금으로 받은 돈이라고 주장했죠.

민수 씨는 “내가 보낸 돈이니 전부 돌려줘”라고 했지만, 철수 씨는 “나는 그 돈이 사기로 얻어진 줄 몰랐고, 일부는 그냥 중간에 전달만 한 거야”라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은 이 사건을 어떻게 봤을까요? 여기서 중요한 건, 철수 씨가 그 돈을 받을 때 사기라는 사실을 알았거나, 몰랐다면 적어도 주의했어야 했는지 여부입니다.

핵심 포인트: 법원은 돈을 받은 사람이 그 돈이 사기로 얻어진 줄 알았거나, 몰랐다면 너무 부주의했는지(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를 확인합니다. 이걸로 돈을 돌려줄지 말지를 결정해요.

법원의 판단: 1억 원과 5천만 원의 운명

법원은 민수 씨가 송금한 1억 5천만 원을 두 부분으로 나눠서 판단했습니다. 먼저, 철수 씨가 익명인 A의 요청으로 다른 계좌로 보낸 1억 원은 철수 씨가 실제로 이익을 얻은 게 아니라고 봤습니다. 쉽게 말해, 철수 씨는 그 돈을 잠깐 거쳐갔다고만 볼 수 있지, 자기 주머니에 넣은 게 아니라는 거죠. 그래서 이 1억 원에 대해서는 민수 씨가 돌려달라고 할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하지만 나머지 5천만 원은 이야기가 달랐습니다. 철수 씨는 이 돈이 익명인 A에게 미술품을 판 대금이라고 주장했어요. 법원은 “만약 이 돈이 정말 미술품 판매 대금이라면, 철수 씨가 그 돈이 사기로 얻어진 돈인지 알았거나, 몰랐다면 너무 부주의했는지(악의 또는 중대한 과실)를 따져봐야 한다”고 했습니다. 즉, 철수 씨가 익명인 A와 미술품 거래를 실제로 했는지, 그 거래 금액이 얼마였는지, 그리고 철수 씨가 돈의 출처를 의심했어야 했는지를 꼼꼼히 조사했어야 한다는 거예요.

그런데 하급심(원심)에서는 이 부분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고, 그냥 “민수 씨가 보낸 돈이니 돌려줘야 한다”고 판단해버렸습니다. 대법원은 이게 잘못됐다고 보고, 다시 심리를 하라고 사건을 돌려보냈습니다. 즉, 철수 씨가 5천만 원을 정당히 받은 건지, 아니면 부당하게 얻은 건지를 더 자세히 따져보라는 거죠.

법률상 원인: 돈을 돌려주지 않아도 되는 경우

이 사건에서 핵심은 법률상 원인이라는 개념입니다. 쉽게 말해, 누군가가 돈을 받았을 때 그 돈을 받을 정당한 이유가 있으면 돌려줄 필요가 없다는 뜻이에요. 예를 들어, 철수 씨가 익명인 A에게 미술품을 팔아서 5천만 원을 받은 게 맞고, 그 돈이 사기로 얻어진 돈인지 전혀 몰랐다면, 철수 씨는 그 돈을 민수 씨에게 돌려줄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철수 씨가 “이 돈이 좀 수상하다”고 의심했거나, 의심했어야 할 상황이었다면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법원은 이런 경우를 판단할 때 ‘악의’(알면서도 받은 경우)나 ‘중대한 과실’(너무 부주의해서 몰랐을 경우)을 기준으로 삼습니다. 철수 씨가 익명인 A의 사기를 눈치챘어야 했는지, 아니면 정말 몰랐어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는지를 따지는 거죠. 이 사건에서 대법원은 하급심이 이 부분을 제대로 조사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겁니다.

우리가 배울 점: 사기 피해, 어떻게 대처할까?

민수 씨의 이야기는 우리 주변에서도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사기 사건을 보여줍니다. 돈을 송금하기 전에 상대방이나 거래의 진짜 여부를 꼼꼼히 확인하는 게 중요하죠. 만약 사기를 당했다면, 가능한 빨리 법적 조치를 취하는 게 좋습니다. 이 사건에서 민수 씨는 소송을 통해 돈을 돌려받으려 했지만, 법원이 모든 돈을 돌려주라고 하지는 않았어요. 왜냐하면 돈이 다른 사람의 손을 거쳤고, 그 사람이 정당히 받았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사건은 돈을 받는 사람도 조심해야 한다는 점을 알려줍니다. 철수 씨처럼 누군가에게 돈을 받았다면, 그 돈의 출처를 의심해볼 필요가 있어요. 특히 큰돈이 갑자기 들어왔다면, “이 돈이 어디서 온 거지?” 하고 한 번쯤 생각해보는 게 좋습니다. 법은 부주의한 사람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있으니까요.

궁금한 점: 만약 당신이 철수 씨라면, 갑자기 들어온 큰돈을 어떻게 확인할 건가요? 법적 문제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요?

출처: 대법원 2025. 7. 16. 선고 2022다277188 판결 | 사법정보공개포털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