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바이 사고 후 국민건강보험 2252만 원 지원받았던 이유

오토바이 사고와 3746만 원의 치료비

2012년 6월, 16살 고등학생 민수(가명)는 술에 취한 상태로 오토바이를 몰다 횡단보도를 건너던 지영(가명) 씨를 치는 사고를 일으켰습니다. 지영 씨는 이 사고로 경부척수 손상과 사지마비라는 심각한 부상을 입었고, 병원 치료비로 총 3746만 원(37,460,205원)이 들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공단)은 지영 씨의 치료비 중 2252만 원(22,521,023원)을 지원해줬습니다. 하지만 이 사고로 인해 민수와 그의 부모, 지영 씨, 그리고 공단 사이의 손해배상 문제는 복잡하게 얽혔습니다. 공단은 지원한 2252만 원을 민수 측에 청구할 권리가 있다고 주장했죠. 이 사건은 2021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로 새로운 기준을 세웠습니다. 이 복잡한 법률 이야기를 일반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보겠습니다.

이 사건의 핵심은 공단이 가해자인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는 돈의 범위와, 지영 씨가 민수에게 받을 수 있는 손해배상금이 어떻게 계산되느냐는 점입니다. 법률 용어로 ‘대위’라는 표현이 나오는데, 이는 공단이 지영 씨를 대신해 민수에게 돈을 청구하는 권리를 뜻합니다. 법원은 사고 책임의 20%는 지영 씨, 80%는 민수에게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2021년 대법원 판결은 이 문제를 명확히 정리하며 기존 판례를 뒤바꿨습니다.

공단의 지원과 새로운 손해배상 계산법

국민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치료비가 필요할 때 부담을 덜어주는 제도입니다. 지영 씨는 사고로 병원에 갔을 때 공단으로부터 2252만 원을 지원받았습니다. 하지만 공단은 이 돈을 민수에게 “내가 지영 씨 대신 냈으니 돌려줘!”라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를 법률적으로 ‘대위’라고 부릅니다. 문제는 사고에 지영 씨의 잘못(20%)도 포함된 경우입니다. 지영 씨가 횡단보도를 건널 때 신호를 완전히 지키지 않았다면, 사고 책임의 20%는 지영 씨에게 있다고 봅니다.

2021년 대법원은 공단이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는 돈을 민수의 책임 비율(80%)에 해당하는 금액, 즉 2252만 원의 80%인 1801만 원(22,521,023원 × 80%)으로 제한해야 한다고 결정했습니다. 나머지 451만 원(2252만 원 × 20%)은 지영 씨의 잘못에 해당하므로 공단이 최종적으로 부담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는 공단이 피해자를 보호하는 사회보장적 역할을 강조한 판단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공단이 지영 씨를 대신해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는 돈은 2252만 원 전액이 아니라, 민수의 잘못(80%)에 해당하는 1801만 원뿐입니다. 지영 씨의 잘못(20%)으로 생긴 451만 원은 공단이 책임져요.

3746만 원, 어떻게 나누나? ‘공제 후 과실상계’

지영 씨가 민수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때, 치료비와 관련된 돈은 어떻게 계산할까요? 대법원은 ‘공제 후 과실상계’라는 새로운 방식을 제시했습니다. 쉽게 말해, 전체 치료비 3746만 원에서 공단이 지원한 2252만 원을 먼저 빼고, 남은 금액(지영 씨가 직접 부담한 금액)에 대해 지영 씨(20%)와 민수(80%)의 잘못 비율을 따져 손해배상금을 계산하라는 겁니다.

계산은 이렇게 됩니다:

  • 전체 치료비 3746만 원에서 공단 지원금 2252만 원을 뺀다 → 1494만 원(37,460,205원 - 22,521,023원)
  • 이 1494만 원에서 지영 씨의 잘못 비율(20%)을 제외한다 → 1494만 원 × 80% = 1195만 원(11,951,345원)
  • 결론: 지영 씨는 민수에게 1195만 원을 청구할 수 있다.

공단은 민수에게 1801만 원(2252만 원 × 80%)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결국 민수는 총 2996만 원(1195만 원 + 1801만 원)을 부담하고, 공단은 지영 씨의 잘못 비율에 해당하는 451만 원을 부담합니다. 이 방식은 지영 씨가 공단의 지원을 받아도 손해를 완전히 보상받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 피해자를 보호하려는 결정입니다.

민수가 먼저 돈을 지급했다면?

만약 민수가 지영 씨에게 치료비 3746만 원을 먼저 지급했다면, 공단은 지영 씨에게 치료비를 지원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하지만 공단이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는 돈은 민수의 책임 비율(80%)에 해당하는 2996만 원(37,460,205원 × 80%)으로 제한됩니다. 나머지 750만 원(3746만 원 × 20%)은 지영 씨의 잘못 비율에 해당하므로 공단이 부담합니다.

또, 만약 지영 씨가 민수에게 3746만 원을 받은 뒤 공단에서 2252만 원을 지원받았다면, 공단은 지영 씨에게 “너무 많이 받은 돈”을 돌려달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부당이득’이라고 부르는데, 공단이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은 민수의 책임 비율(80%)에 해당하는 1801만 원(2252만 원 × 80%)으로 한정됩니다. 나머지 451만 원은 공단이 부담하며, 이는 피해자 보호를 위한 사회보장적 성격을 반영한 것입니다.

왜 기존 판례를 바꿨나? 반대 의견의 주장

2021년 판결은 기존 대법원 판례를 뒤바꿨습니다. 이전 판례는 공단이 지원한 2252만 원 전액을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다고 봤습니다. 이 방식은 전체 치료비 3746만 원에서 먼저 지영 씨의 잘못 비율(20%)을 빼고, 그다음 공단 지원금 2252만 원을 빼는 방식(‘과실상계 후 공제’)으로 계산했습니다:

  • 전체 치료비 3746만 원에서 지영 씨의 잘못(20%)을 뺀다 → 3746만 원 × 80% = 2996만 원
  • 여기서 공단 지원금 2252만 원을 뺀다 → 2996만 원 - 2252만 원 = 744만 원
  • 결론: 지영 씨는 민수에게 744만 원을 청구할 수 있다.

이 방식은 공단이 2252만 원 전액을 민수에게 청구할 수 있게 해줬습니다. 하지만 대법관 이동원 님은 이 방식이 타당하다며 반대 의견을 냈습니다. 그는 공단이 보험재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려면 전액을 청구할 수 있어야 하며, 이는 국민건강보험법의 문언에도 부합한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다수 의견은 이 방식이 지영 씨 같은 피해자에게 불리하다고 보고, 피해자 보호를 우선하며 ‘공제 후 과실상계’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2021년 판결이 중요한 이유

2021년 대법원 판결은 국민건강보험의 사회보장적 역할을 강조하며 피해자를 더 두텁게 보호하려는 결정입니다. 지영 씨처럼 사고로 피해를 입은 사람이 자신의 잘못(20%) 때문에 손해배상금을 덜 받는 상황에서도, 공단이 일부 책임(451만 원)을 지며 피해자를 지원한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이 판결은 공단, 피해자, 가해자 간의 공정한 책임 분배를 고민한 결과로, 기존 판례를 변경하며 피해자 중심의 새로운 기준을 세웠습니다.

A woman getting hit by a motorcycle at a crosswalk in an urban street, caught in the moment of impact

3746만 원이라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보면, 복잡한 법률 이야기도 한결 이해하기 쉬워집니다. 이 판결은 국민건강보험이 단순히 돈을 지원하는 제도가 아니라, 사회의 공정함과 정의를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또한, 공단의 구상권 행사를 강화하거나 통보 의무를 명확히 하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기되었으며, 앞으로 피해자와 공단의 재정 부담이 균형을 이루는 방향으로 나아가길 기대합니다.

인기 기사